#이비인후과, 안과, 피부과, 비뇨의학과
Diabetic retinopathy(당뇨망막병증) #안과
종합병원김닥터
2023. 6. 12. 16:17
당뇨망막병증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 볼까 합니다!
1. What is Diabetic retinopathy?
당뇨병이 지속되는 동안 망막에 생기는 변화로 인해 발생하는
눈의 합병증입니다!
역학에 대해 알아볼까요?
당뇨병 환자의 36.1에서 당뇨망막병증을 가지며,
당뇨망막병증 환자의 11.1%가 증식형 당뇨망막병증이라고 합니다.
실명의 가장 흔한 원인이며,
유병기간과 당화혈색소 수치와 깊은 연관을 가지고 있습니다.
따라서,
1형 당뇨병은 조기 안과 검사 당뇨 진단 5년 이내 시행하며
2형 당뇨병은 조기 안과 검사 당뇨 진단 즉시 시행해야 합니다!
2. Pathogenesis
다음으로 병리 기전에 대해 알아봅시다!
1) 초기변화
당뇨병이 진행됨에 따라 고혈당 상태가 지속이 되면,
망막의 혈관 내피세포(Endothelial cell)에 손상이 발생합니다!
그 결과, 혈관 내피세포 주위의 피질과 망막 조직에 이상물질이 축적이 됩니다.
2) 신생혈관 변화
고혈당 상태가 지속되면 신생혈관 생성(Neovascularization)이 일어납니다!
신생혈관은 비정상적으로 형성되므로
쉽게 파열되고 출혈 유발 되어
망막 주변에 혈액이 쌓여
시력 저하 및 심각한 경우 망막박리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3) 망막 조직 변화
당뇨병이 지속되면서 망막 조직은
섬유화(Fibrosis)와 색소감소(Hyaline-like) 변화가 생겨
망막의 기능 저하 및 시력 손상이 초래됩니다.
4) 염증 반응
고혈당 상태는 망막조직에서 염증 인자의 생성과 활성을 촉진합니다.
그 결과, 혈관 내피세포의 손상 및 기능 저하를 초래하게 됩니다.
3. Diagnosis
진단은 어떻게 할까요?
1) 안저 검사 2) 형관 안저 혈관 조영
3) 빛간섭단층촬영(OCT) 4) 초음파검사
를 통해 할 수 있습니다.
1) 안저검사
안저 확대기(Fundus examination)를 사용하여
망막의 형태와 혈관 상태를 확인합니다.
2) 형관 안저 혈관 조영
혈관 구조와 혈액 순환을 더 자세히 보기 위해,
인공적인 색소를 정맥 주사로 주입한 후
색소가 망막 혈관을 통과하는 과정을 촬영하여
당뇨망막병증의 증상과 정도를 평가합니다.
3) 빛간섭 단층촬영(OCT)
망막의 두께나 구조를 상세히 보기 위해 사용되는 진단기법입니다.
빛의 반사를 측정하여 3D 이미지를 생성하고,
이를 통해 혈관 이상, 부종, 망막 변화 등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4) 초음파 검사
매체 혼탁에 의해 안저 관찰이 힘들 때 이용하는 검사로,
유리체 충혈, 뒤유리체면과 증식막의 상태, 견인망막박리 등의 형태진단
을 할 수 있습니다.
4. Classification
분류에 대해 알아볼까요?
1) 비증식 당뇨망막 병증
(Non-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NPDR)
2) 증식 당뇨망막 병증
(Proliferative diabetic retinopathy, PDR)
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비증식 당뇨망막 병증
초기 단계로서 혈관 이상, 혈관 누출, 혈관 손상 등이 나타나며
주로 망막의 혈관 확장과 혈관벽의 이상이 관찰됩니다.
망막 조직에 혈액이 샌다거나 출혈이 발생할 수 있지만,
이 단계에서는 신생혈관이 형성되지 않습니다!
2) 증식 당뇨망막 병증
신생혈관이 망막에서 생성되고 증가하는 단계입니다.
이 신생혈관은 비정상적으로 형성되어 혈관 이상을 초래하는데,
이 단계에서는 혈액이 망막에 출혈하고
신생혈관이 망막 외부로 성장하여 망막박리 등 심각한 합병증을 유발합니다!
5. Treatment
치료는 어떻게 할까요?
1) 혈당관리 2) 레이저굴절수술(Photocoagulation)
3) 주입치료(Intraocular injection therapy) 4) 수술
와 같은 치료 옵션이 있으며,
증상과 질환의 정도에 따라 선택되어집니다.
1) 혈당관리
당뇨망막병증의 진행을 늦추고 증상을 완화시키는 데 중요합니다!
당뇨병의 혈당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망막에 가해지는 손상을 줄일 수 있습니다.
2) 레이저굴절수술
색소성 망막출혈을 통제하고
신생혈관의 성장을 억제하기 위해 사용됩니다.
레이저를 통해
손상된 혈관을 봉합 하고, 혈액이 샌 부위를 봉쇄하여 출혈을 멈추게 합니다.
3) 주입치료
망막에 약물을 직접 주입하여 혈관 이상을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주로 항-VEGF 약물(혈관내피성장인자 억제제)이 사용되며
이는 신생혈관의 성장을 억제하고 망막 손상을 예방합니다.
4) 수술
심각한 당뇨망막병증이나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 수술이 필요합니다.
망막 박리, 신생혈관 제거, 망막 이식 등의 상황에서 고려됩니다.
당뇨망막병증에 대해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았습니다!
당뇨망막병증의 모든 것은 아니지만
정의, 발생기전, 진단, 분류 및 치료 위주로 정리했습니다~
많은 분들에게 도움이 되길 바라며
오늘은 이것으로 마치겠습니다^^
출처:
안과학 11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