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건강의학과

정신사회적 치료 증례: 증상과 치료 과정 분석

종합병원김닥터 2023. 8. 11. 15:35

정신건강의학과 Chapter 04. 정신사회적 치료 증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공황장애 인지행동치료, 주요 우울장애 비약물적 치료, 사례관리, 체계적 탈감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황 01.] 공황장애 인지행동치료

36세 여자가 숨쉬기가 힘들어 내원

3달 전 비행기 안에서 갑자기 숨쉬기 불편하고 질식할 것 같은 느낌

심장이 두근거리고 나서 현기증이 나서 죽을 거 같다는 두려움

응급실에서 검사를 받았지만 이상 없었음

이후 다시 숨이 막힐가봐 걱정이 되어 비행기도 타지 않고 혼자 외출하지 않으려고 함

=> 3개월 전 '공황발작'을 경험한 여성으로 현재 재발에 대한 예기불안과 회피 증상을 나타내고 있습니다. 공황장애 주된 약물치료는 벤조디아제핀계 약물이 사용되며 정신사회적 치료로는 인지행동치료가 흔히 사용됩니다. 신체증상이 나타나더라도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회복될 것이라는 생각을 갖도록 하는 인지치료와 증상에 대한 호흡훈련, 이완요법이나 증상에 대한 노출치료와 같은 행동치료를 사용하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상황 02.] 주요 우울장애 비약물적 치료

5개월 전부터 무기력하고 우울하다며 내원한 25세 여자 환자지난 3년간 회계사시험 공부를 했으나 계속 불합격했고 5달 전에 남자친구와 헤어진 후 종일 비관적 생각만 함자신은 가치가 없는 인간이며 세상의 그 누구도 자기를 좋아해 주지 않을 것이며 앞으로도 어떤 희망도 없을 것이라고 생각함=> 위 환자는 주요 우울장애로 진단할 수 있으며 주요 우울장애의 치료로는 약물치료와 비약물적 치료로 나뉩니다. 비약물적 치료 기법에는 인지행동치료가 있으며 이 외에도 전기충격요법 등은 주로 임산부 등 약물 치료가 힘든 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치료에 해당합니다. 

[상황 03.] 사례관리

23세 남자가 1년 전부터 발생한 조현병 증상으로 입원 치료 3주를 받았음이후 증상은 호전되었으나 다른 사람과의 대화하는 것을 어색해하고 무기력한 모습을 자주 보임=> 의사는 정신겅강복지센터에 연락하여 퇴원 이후 그의 일상생활과 약물복용 관리 등을 통해 사회적응을 도울 수 있도록 하는 사례관리치료를 하였다. '사례 관리'는 질병의 관리, 사회 지지체계의 확보, 직업 재활 등 포괄적인 치료를 지속적으로 제공하여 환자의 재활 및 사회복귀를 돕는 치료방법입니다. 

[상황 04.] 특정 공포증에 대한 체계적 탈감작

25세 여자가 어려서부터 거미만 보면 심한 공포와 두근거림을 느껴 여행도 제대고 못 간다며 내원=> 특정한 대상에 대한 공포가 어렸을 때부터 아주 심했으며 대상을 피해버리는 특정공포증을 겪고 있는 환자입니다. 근육 이완을 교육시키고 두려움을 가장 적게 느끼는 거미 사진을 보여주면서 이완 상태를 유도하도록 합니다. 이를 극복하면 점차 공포 수준을 높여가면서 실제 거미를 만지기까지를 반복하는 '체계적 탈감작' 행동치료를 통해 치료할 수 있습니다. => '노출과 반응 방지'는 도피 반응을 억제하는 방식으로 환자가 공포를 직면하고 도피 반응을 중단하는 것이 가장 큰 특징으로 이는 강박장애의 치료에 활용이 되며 '체계적 탈감작'과 비슷해 보이지만 다른 치료방법이라는 것을 알아두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