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내과

비만(Obesity) #가정의학과 #내과

by 종합병원김닥터 2023. 6. 15.

오늘은 비만에 대해 알아보려고 합니다.
비만정의 및 측정, 원인, 결과 및 관리 전략을 중점으로 살펴보겠습니다. 

I. Definition and Measurement of Obesity

비만의 정의와 측정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체지방이 과도하게 축적되어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비만이라고 합니다.

여기서 BMI = 체중(kg)/신장(m)^2 계산하며, 비만을 평가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됩니다.

1. 저체중: BMI 18.5 미만

2. 정상 체중: BMI 18.5 - 24.9

3. 과체중: BMI 25.0 - 29.9

4. 비만: BMI 30.0

BMI는 유용한 선별도구 이지만 한계가 있다는점에 유의해야 합니다.

체지방량과 근육량을 구별하거나 신체 구성의 변화를 고려하지 않는다는 점입니다.

예를 들어, 근육량이 많은 운동선수는 체지방 비율이 낮더라도 BMI가 더 높을 수 있습니다.

또한 BMI는 지방 분포를 설명하지 않기에 중심비만(복부 주변의 과도한 지방)에 대한 정확한 검사가 이루어지지 못합니다. 

 

II.  Etiology and Risk Factors

다음으로 병인과 위험요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1. 유전적 요인: 가족 및 단일 유전자 형태를 포함하여 비만에 대한 유전적 소인을 이해하고 특정 유전자가 신진대사 및 식욕 조절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해야 합니다.

1) Familia Aggragation(가족적 요인): 비만 가족력이 없는 사람에 비해 부모나 형제자매가 비만한 사람이 비만 위험이 더 높습니다.  이는 가족을 통해 유전되는 유전적 요인이 비만 감수성에 기여한다는 것을 시사합니다.

 

2) Monogenic obesity(단일유전자 비만): 드문 경우지만 특정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단일 유전자 비만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식욕과 에너지 균형을 조절하는 렙틴(LEP) 유전자와 포만감 신호에 관여하는 멜라코토르틴-4 수용체(MC4R)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있습니다. 이러한 유전자 돌연변이는 식욕 조절 경로의 정상적인 기능을 방해하여 심각한 초기 비만을 유발합니다.

 

3) Polygenic Obesity(다유전자 비만): 대부분의 비만사례는 여러 유전적 변이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합니다. GWAS(Genome-Wide Association Studies)는 비만 위험과 관련된 수많은 유전적 변이를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변이체는 식욕 조절, 에너지 소비, 지방대사 및 지방조직 발달을 비롯한 다양한 생물학적 과정에 관여합니다. 각각의 유전적 변이는 비만 위험에 약간의 영향을 미칠 수 있지만 누적 영향은 비만 발생의 전반적인 위험에 기여합니다.

 

2. 환경요인: 고칼로리 음식, 좌식 생활 방식, 사회경제적 요인 등 비만 유발 환경의 영향을 이해해야 합니다.

1) Obesogenic Environment(비만유발환경): 현대 생활 방식은 맛있고 에너지 밀도가 높은 음식과 좌식 행동이 풍부하여 비만 유발 환경을 조성하는 것이 특징입니다. 가공 식품의 용이한 이용, 증가된 1인분 크기, 앉아서 일하는 직업, 기술에 대한 의존과 같은 요인은 과도한 칼로리 섭취와 신체활동 감소에 기여하여 비만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2) Soceioeconomic Factors(사회경제적요인): 사회경제적 지위가 낮을수록 비만 위험이 높아집니다. 건강에 좋은 음식에 대한 접근 제한, 식량 사막의 만연, 소외된 지역 사회에서의 신체 활동 기회 감소는 비만율을 높이는 데 기여합니다.

 

3) Built  Environment(건축영향): 도시 계획 및 이웃 디자인은 비만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레크레이션 시설의 가용성, 보행 용이성 및 녹지와의 근접성과 같은 요인은 신체 활동 수준에 영향을 미치고 비만 유병률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3. 행동요인: 비만의 발생과 진행에 있어 식습관, 신체활동 수준, 심리사회적 요인의 역할을 이해해야 합니다.

1) Dietary Pattern(식습관): 가공식품, 단 음료, 패스트푸드 등의 건강에 좋지 않은 식습관은 비만과 밀접한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식단은 칼로리가 높고 설탕이 첨가되고 건강에 해로운 지방이 많으며 영양 밀도가 낮은 경향이 있습니다. 적절한 과일 및 채소 섭취 부족도 비만 위험에 기여합니다.

 

2) Physical Inactivity(신체적 비활동성): 오래 앉아 있는 것과 낮은 수준의 신체활동과 같은 좌식 행동은 비만의 중요한 위험 요소입니다. 화면 시간 증가, 사무직, 활동적인 이동 감소와 같은 현대 생황 방식은 칼로리 소비 부족에 기여하고 체중증가를 촉진합니다. 

 

3) Psychosocial Factors(심리사회적 요인): 감정적인 식사, 스트레스, 부적절한 수면은 비만 위험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정서적 요인은 과식이나 건강에 해로운 음식 선택으로 이어질 수 있으며 만성 스트레스와 수면부족은 식욕과 에너지 균형의 호르몬 조절을 방해합니다. 

 

III. Pathophysiology of Obesity

다음으로 비만의 병태생리학입니다. 

1. 에너지 균형 및 조절: 에너지 항상성 유지에 있어 지방 조직, 호르몬 신호(렙틴, 그렐린) 및 중추신경계의 역할을 포함하여 에너지 섭취와 소비 사이의 균형이 중요합니다. 

 

2. 지방 조직 기능 장애: 기능 장애가 있는 지방 조직이 비만과 일반적으로 관련된 만성 염증, 인슐린 저항성 및 대사 장애에 기여합니다.

 

3. GutMicrobota: 음식 및 대사과정에서 에너지 추출에 미치는 영향을 포함하여 비만에서 장내 미생물의 역할이 비만을 야기합니다.  

 

IV. Health Conseqeunces of Obesity

비만의 건강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1. 대사증후군: 복부비만, 고혈압, 혈당수치상승, 이상지질혈증 및 인슐린 저항성이 포함된 개념으로 비만인 사람은 대사증후군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으며, 이는 심혈관 발생 및 기타 만성 질환의 위험을 크게 높입니다.

 

2. 심혈관계 질환: 비만은 다양한 심혈관 질환의 중요한 위험요소입니다. 과도한 체지방, 특히 복부 지방은 만성 염증, 이상지질혈증, 인슐린 저항성 및 고혈압을 유발하며, 이 모두는 다음과 같은 심혈관 질환 발병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1) 죽상동맥경화증: 동맥에 지방 플라크 형성을 촉진하여 죽상동맥경화증으로 이어지며 동맥을 좁히고 딱딱하게 만들어 혈류를 방해하고 잠재적으로 심장마비와 뇌졸중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2) 고혈압: 과체중은 심장과 혈관에 부담을 주어 고혈압 및 후속 심혈관 합병증의 위험을 증가시킵니다.

3) 심부전: 심장에 가해지는 부담을 증가시키고 심장이 신체의 필요를 충족시키기 위해 혈액을 적절하게 펌프질할 수 없는 상태인 심부전으로 진행할 수 있습니다. 

 

3. 제2형 당뇨병: 비만은 제2형 당뇨병 발병의 중요한 위험요소입니다. 특히 복부 지방의 지방 조직 기능 장애는 세포가 인슐린 작용에 덜 반응하게 되는 인슐린 저항성에 기여합니다. 이 저항성은 혈당 수치를 효과적으로 조절하는 신체의 능력을 손상시켜 혈당 수치를 높이고 제2형 당뇨병을 발병시킵니다.

 

4. 비만 관련 암: 비만은 여러 유형의 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과도한 체지방과 만성 염증은 암세포의 성장을 촉진시킵니다. 다음과 같은 암들이 비만과 관련이 있습니다.

1) 유방암: 비만이 있는 폐경 후 여성은 지방 조직에서 생산되는 에스트로겐 수치 상승으로 인해 유방암 발병 위험이 증가합니다.

2) 대장직장암: 비만은 대장암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습니다.

3) 자궁내막암: 비만 여성은 자궁 내막의 성장을 자극하는 지방 조직에 의한 에스트로겐 생성 증가로 인해 자궁내막(자궁)암에 걸릴 위험이 더 높습니다. 

4) 신장암, 췌장암 및 간암: 비만은 또한 이러한 암의 위험 증가와 관련이 있지만 근복적인 메터니즘은 아직 연구중입니다. 

 

V. Obesity Management

비만은 어떻게 관리해야 할까요?

1. 라이프스타일 수정: 비만 관리의 초석이며 식당, 신체활동 및 행동에 대한 지속 가능한 변화를 수반합니다.

1) 식단변경: 영양이 풍부한 전체 식품에 초점을 맞춘 균형 잡힌 칼로리 조절식을 합니다. 여기에는 1인분 크기 감소, 첨가된 설탕 및 건강에 해로운 지방 제한, 섬유질 섭취 증가, 더 많은 과일, 채소, 저지방 단백질 및 통곡물이 포함됩니다.

2) 규칙적인 신체활동: 규칙적인 운동과 신체활동을 통해 칼로리 소비를 늘리고 심혈관 건강을 개선하며 전반적인 체력을 향상시킵니다. 근력 운동과 함께 일주일에 최소 150분의 중등도 유산소 활동을 목표로 하는 걸 추천드립니다. 

3) 행동수정: 식습관, 감정 유발 요인 및 스트레스 관리와 관련된 행동패턴을 해결합니다. 주의 깊은 식사, 현실적이 목표 설정, 진행 상황 모니터링, 의료 전문가 및 공인 영양사 또는 행동 변화 전문 심리학자의 도움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2. 약물 요법: 경우에 따라 생활 방식 수정만으로는 충분하지 않을 수 있으며 의료 전문가는 체중 감량 노력을 돕기 위해 약물 요법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약물 요법은 일반적으로 체질량지수(BMI)가 30이상이거나 27이상인 비만 관련 합병증이 있는 개인에게 처방됩니다. 비만 관리를 위한 약물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올리스타트: 식이 지방의 흡수를 줄여 체중 감소를 유도합니다. 일반적으로 저칼로리 다이어트와 함께 권장됩니다.

2) 펜터민/토피라메이트: 이 복합제는 식욕을 억제하고 포만감을 촉진하여 칼로리 섭취를 줄입니다.

3) Liraglutide: 원래 당뇨병 관리를 위해 개발되었으나 식욕을 감소시키고 포만감을 증가시켜 체중 감소에도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3. Bariatric surgery: 심한 비만(BMI>40) 또는 비만 관련 합병증이 있는 BMI>35인 사람을 위한 치료입니다. 음식 섭취를 줄이거나 영양소 흡수를 제한하기 위해 소화 시스템을 수정하는 것과 관련됩니다. 비만 수술의 종류는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습니다.

1) Roue-en-Y 위 우회술: 작은 위 주머니를 만들고 소장의 일부를 우회하도록 소화관 경로를 변경합니다. 음식 섭취를 제한하고 칼로리 흡수를 줄입니다.

2) 위소매절재술: 위의 많은 부분을 제거하여 작고 바나나 모양의 위를 남깁니다. 음식 섭취를 줄이고 배고픔과 포만감 호르몬을 변화시킵니다.

3) 조정 가능한 위 밴딩: 위 윗부분 주위에 밴드를 배치하여 더 작은 위주머니를 만듭니다. 포만감을 유발하여 음식 섭취를 제한합니다.

 

Conclusion

비만의 병인, 병태생리학, 건강 결과 및 관리 전략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효과적인 비만 관리에는 종합적이고 환자중심적 접근 방식
필요하다는 점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이 듭니다.
비만은 개인의 삶에 중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기에
이를 알고 예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저는 제 체중에 집착하지 않습니다.
저는 평생 그렇게 해왔지만 저에게는 효과가 없었습니다.
행복하고 건강해지는 데 집중해야 합니다."
- 크리시 메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