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산부인과24

분만 후 출혈 정의, 원인 및 치료: 자궁이완증부터 양수색전증까지 산부인과 19-2. 분만 후 출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산후출혈 정의 2. 산후출혈 원인 1. 산후 출혈 분만 3기가 완료된 후 질식분만 후 500mL 이상, 제왕절개 분만 후 1,000mL 이상의 출혈을 보이는 것을 말합니다. 산후 출혈은 Immediate/Delayed postpartum hemorrhage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Immediate postpartum hemorrhage는 태반 만출 시부터 24시간 이내에 500mL 이상의 출혈을 보이는 것으로 자궁이완증, 자궁내번증, 잔류태반, 산도열상, 산욕기 혈종에 의해 일어나게 됩니다. Delayed postpartum hemorrhage는 분만 후 24시간 후부터 12주 사이에 발생한 출혈로 잔류태반, 태반부착부위 퇴축부전,.. 2023. 8. 25.
분만 전 출혈의 원인: 태반조기박리와 전치태반에 대한 이해 산부인과 Chapter 19-1. 산과적 출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분만 전 출혈의 원인 2. 태반조기박리(Placental abruption) 3. 전치태반(Placenta previa) 1. 분만 전 출혈의 원인 분만 전 출혈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임신 20주 이전에서 분만 전 출혈의 원인은 유산이 가장 흔하며, 자궁 외 임신, H-mole 등이 있습니다. 임신 20주 이후에서 분만 전 출혈의 원인은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자궁파열 등이 있습니다. 2. 태반조기박리 태반조기박리는 태아 분만 전 태반이 착상 부위에서 분리되는 현상으로, 정상적으로 착상된 태반의 조기 분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태반조기박리의 위험 요인은 태반조기박리 과거력, 임신 중 고혈압(만성 고혈압, 전자간.. 2023. 8. 25.
임신 고혈압의 종류와 치료 산부인과 Chapter 18. 임신 고혈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임신 고혈압의 종류 2. 임신성 고혈압의 치료 1. 임신 고혈압의 종류 임신 고혈압의 종류에는 임신성 고혈압, 전자간증, 자간증, 만성고혈압, 중증전자간증, 중복자간전증, HELLP 증후군이 있습니다. 임신성 고혈압(Gastational hypertension)은 임신 20주 이후에 처음 확인된 고혈압으로 단백뇨는 확인되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산후 약 12주 이내에 혈압이 정상적으로 돌아오며, 출산 후 진단됩니다. 전자간증(Preeclampsia)은 과거 정상혈압 여성에서 임신 20주 이후 혈압 > 140/90mmHg이면서, (1) 단백뇨 > 300mg/일 또는 1+ dip stick 이상 (2) 혈소판 감소증 < 100.. 2023. 8. 24.
유산의 종류와 원인, 자궁경부무력증에 대한 모든 것 산부인과 Chapter 17. 유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유산의 종류 2. 자궁경부무력증(Incompetent internal os of cervix, IIOC) 1. 유산의 종류 유산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유산은 절박유산, 불가피유산, 불완전유산, 계류유산, 반복 자연유산, 고사난자가 있습니다. 절박유산(Threatened abortion)은 임신 20주 동안에 혈성 질분비물 또는 출혈이 닫힌 자궁 경부를 통해서 나타나는 경우로 질초음파를 통해 Posterior cul-de-sac에서 저음영 에코가 관찰됩니다. 이 경우 진통제와 충분한 휴식을 하고 초음파를 통한 경과관찰을 합니다. 불가피유산(Inevitable abortion)은 임신 20주 동안에 자궁경관 개대와 함께 양막이.. 2023. 8.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