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산부인과24 임신에 대한 모체의 적응 및 산전관리 증례: 증상과 치료 과정 분석 산부인과 Chapter 01. - 02. 임신에 대한 모체의 적응, 산전관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01.] 쌍태임신 산모의 갑작스러운 어지러움과 구역 증상 쌍태임신 33주인 34세 미분만부가 산전진찰을 위해 내원 복부초음파를 받던 중 갑자기 어지러움과 구역 증상 호소 => 임신 중 자궁은 상대적으로 오른쪽으로 밀려서 커지게 되면서 오른쪽의 대정맥을 압박합니다. 따라서 대정맥이 압박을 받을 경우 심장으로 들어오는 혈액량이 줄어들게 되면서 어지러움과 구역 증상을 호소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몸을 왼쪽 옆으로 돌려 눕거나 편한 자세로 바꾸는 것이 좋습니다. [상황 02.] 신경관 결손 과거력 있는 여성의 임신 준비 40세 산과력 0-0-1-0인 여자가 임신 준비를 상담하기 위해 내원 2년 전 유산된.. 2023. 8. 13. 과숙임신(지연임신), 태아성장지연 진단 및 처치 산부인과 Chapter 12. - 13. 과숙임신 및 태아성장지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과숙임신(지연임신, Prolonged pregnancy) 2. 태아성장지연(Fetal growth restriction, FGR) 1. 과숙임신 과숙임신은 임신 기간이 40주 를 넘어가는 상태를 의미합니다. 과숙임신과 관련된 기형은 태아의 뇌가 제대로 형성되지 않는 심각한 무뇌증과 태아의 부신이 충분히 발달하지 않는 부신기능 미형성증이 있습니다. 과숙임신에 대한 검사 및 처치로는 비수축검사(NST), 생물물리학적 평가지표(BPP) 등으로 태아 감시를 주 2회 또는 3회를 시행합니다. 42주 이상이 확실하거나 양수과소증을 보인다거나 태동감소를 보이면 유도분만 합니다. 만약 이에 해당하지 않으면 1주 뒤 .. 2023. 8. 13. 임신 중의 위험과 대비: 조산, 조기양막파수, 융모양막염, 조기산통 산부인과 Chapter 11. 조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조산, 조기양막파수, 융모양막염, 조기 산통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조산 2. 조기양막파수(Premature Rupture of Membrane, PROM) 3. 융모양막염(Chorioamnionitis) 4. 조기 산통(Preterm labor with intact membrane) 1. 조산 조산의 정의는 20주 이상, 37주 미만일 경우로 합니다. 조산의 위험인자는 이전에 조산의 과거력, 경부의 변화로 경부길이가 짧아졌거나 확장되어 있을 경우가 있습니다. 조산을 예방하기 위해 자궁 경부의 강화를 위해 'Cervical cerclage'을 일반적으로 임신 12-14주 사이에 시행합니다. 그리고 Progesterone을 통해 조산.. 2023. 8. 13. 임신과 분만 상황: 난산, 자궁기능부전 및 분만태위 산부인과 Chapter 10. 난산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난산, 급속분만, 자궁의 기능부전, 둔위분만, 복합위, 견갑난산, 얼굴태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난산(Dystocia) 2. 급속분만 3. 자궁의 기능부전 4. 둔위분만 5. 복합위 6. 견갑난산 7. 얼굴태위 1. 난산 난산은 크게 1st stage(자궁 경부 소실 및 이완기=자궁 경부가 완전히 이완될 때까지)의 Latent phase(자궁경부 개대가 완만히 이루어지지 않았는데 배가 아픈 시기)에서 일어나는 문제와 1st stage의 Active phase(자궁경부개대 6cm 이상 확장)에 나타나는 문제로 구분합니다. 먼저 1st stage-Latent phase에서 일어나는 문제는 지연 잠복기가 있습니다. 지연 잠복기는 자궁경.. 2023. 8. 13. 이전 1 2 3 4 5 6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