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부인과

분만 전 출혈의 원인: 태반조기박리와 전치태반에 대한 이해

by 종합병원김닥터 2023. 8. 25.

산부인과 Chapter 19-1. 산과적 출혈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목차]

1. 분만 전 출혈의 원인

2. 태반조기박리(Placental abruption)

3. 전치태반(Placenta previa)

1. 분만 전 출혈의 원인

 분만 전 출혈의 원인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임신 20주 이전에서 분만 전 출혈의 원인은 유산이 가장 흔하며, 자궁 외 임신, H-mole 등이 있습니다. 

 임신 20주 이후에서 분만 전 출혈의 원인은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자궁파열 등이 있습니다.

2. 태반조기박리

 태반조기박리는 태아 분만 전 태반이 착상 부위에서 분리되는 현상으로, 정상적으로 착상된 태반의 조기 분리되는 것을 의미합니다. 

 태반조기박리의 위험 요인은 태반조기박리 과거력, 임신 중 고혈압(만성 고혈압, 전자간증), 임신 중 복부 외상 후 복통과 동반되는 질 출혈이나 자궁 압통의 경우가 있습니다.

 태반조기박리의 증상은 임신 후반기의 복통과 질출혈이 가장 흔한 임상증상으로 복부진찰에서 자궁은 딱딱하게 만져지고 압통이 동반되면 의심할 수 있습니다.

 태반조기박리의 진단은 임상적 진단과 함께 초음파를 통해 태반과 자궁근층 사이에 저음영 덩이가 관찰되며 태반이 후방에 위치해 보입니다. 

태반조기박리 초음파 소견

 태반조기박리의 합병증으로 분리된 태반으로 인해 태아와 모체 사이의 혈류가 감소하고 심각한 출혈이 발생하면서 모체의 혈압이 급격하게 하락하고 신장과 같은 중요한 장기들에 충분한 혈액공급이 되지 않아 기능저하가 발생하여 Shock 나타날 수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출혈에 대한 응고과정으로 혈소판이 활성화되면서 혈소판이 소모되고 응고된 혈소판에서 혈전이 생성되면서 파종성 혈관 내 응고(DIC)가 발생하여 섬유소원(Fibrinogen)은 감소하고 D-이량체는 증가하게 됩니다. 이 경우 헤파린은 사용하지 않고 일반적으로 수혈을 우선합니다.

 또 다른 합병증으로 자궁 태반 출혈(Uterolacental apoplexy)이 있습니다. 이는 태반조기박리에 의해 발생한 자궁근육층의 혈종을 말하며 자궁혈액이 혈관 밖으로 유출되어 자궁근층과 근막 밑에 넓게 퍼져 자궁이 푸른빛으로 멍든 것처럼 보이는 현상을 말합니다. 일명 쿠브레르(Couvelaire) 자궁이라고도 합니다. 치료는 보존적 치료를 하면 됩니다.

Uteroplacental aopplexy 소견

  태반조기박리 치료34주 이전이고 산모와 태아가 안정하면 입원 관찰합니다. 하지만 태아 심박동수가 120회/분 미만이 되면 제왕절개술을 하고 만약 태아가 사망했다면 유도분만 합니다. 단, 태아가 사망하였더라도 산모가 혈역학적으로 불안정하거나 태아가 유도분만 하기 힘든 자세라면 제왕절개술을 시행합니다. 

 파종성 혈관 내 응고(DIC)의 치료 가이드라인은 아직 정해진 것이 없으나 DIC를 일으킨 근본적인 원인을 치료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며 일반적으로 수혈이 매우 중요합니다. 

태반조기박리 치료

3. 전치태반

 전치태반은 태반이 자궁경부의 자궁목내공에 매우 근접해 있거나 덮고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전치태반의 증상은 주로 무통성 출혈이며 검사는 초음파를 통해 합니다. 내진은 출혈을 일으키므로 금기입니다.

전치태반 초음파 소견

전치태반의 치료34주 이전이면 절대안정 및 경과관찰을 하며 임신을 최대한 유지하는 것이 좋으며 리토드린으로 자궁수축을 줄여주고, 폐 성숙화를 위해 베타메타손을 투여합니다. 34주 이후는 제왕절개하며, 만약 산모가 과다출혈을 보인다면 임신 주수와 관계없이 제왕저개술을 합니다. 

태반조기박리, 전치태반 비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