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정신건강의학과18 신체증상과 불안: 신체증상장애, 질병불안장애, 신체이형장애, 전환장애 이해 및 후버검사 정신건강의학과 Chapter 13.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신체증상장애, 질병불안장애, 신체이형장애, 전환장애, 후버검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신체증상장애 2. 질병불안장애 3. 신체이형장애 4. 전환장애 5. 후버검사1. 신체증상장애 신체증상장애는 여러 장기의 다양한 증상이 포인트입니다. 흔한 임상양상으로 모든 장기에 걸쳐 다양한 신체증상이 나타납니다. 신체증상장애의 DSM-5 진단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고통스럽다거나 일상에 중대한 지장을 일으키는 하나 이상의 신체증상 2) 신체증상 혹은 건강염려와 관련된 과도한 생각, 느낌 또는 행동이 다음 중 하나 이상으로 표현됨 1. 증상의 심각성에 대해 편중되고 지속적인 생각 2. 건강이나 증상에 대한 지속적으로 높.. 2023. 8. 9. 불안, 강박,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 진단과 치료 전략 가이드 정신건강의학과 Chapter 12. 불안, 강박, 외상 및 스트레스 관련 장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공황장애, 광장공포증, 특정공포증, 사회불안장애, 범불안장애, 강박장애, 외상 후스트레스장애, 급성스트레스장애, 적응장애, 저장장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공황장애 2. 광장공포증 3. 특정공포증 4. 사회불안장애 5. 범불안장애 6. 강박장애 7. 외상 후스트레스장애 8. 급성스트레스장애 9. 적응장애 10. 저장장애 1. 공황장애 공황장애의 진단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공황발작은 다음 중 4가지 이상이 갑자기 생겨 10분 내 최고조에 이릅니다. 1) 자율신경계 항진: 심계항진, 땀 흘림, 떨림 2) 흉부 및 복부 증상: 숨찬 느낌, 질식감, 흉통 및 흉부 불편감, 복부 불편감 3) 정신.. 2023. 8. 8. 주요 우울장애, 기분장애, 양극성 장애의 이해: 증상, 진단, 치료법 정신건강의학과 Chapter 11. 기분 장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주요 우울삽화 및 주요 우울장애, 월경 전 불쾌장애, 기분장애의 감별, 조증삽화와 양극성 장애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주요우울삽화 및 주요 우울장애 2. 월경 전 불쾌장애 3. 기분장애의 감별 4. 조증삽화와 양극성장애 1. 주요 우울삽화 및 주요 우울장애 주요 우울장애의 DSM-5에 따른 진단 기준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다음 증상 중 5가지 이상이 2주 연속으로 발생하고 1)과 2) 중 한 가지는 필수적으로 나타나야 합니다. 1) 거의 하루 종일 우울한 기분 2) 현저히 감소된 삶에 대한 흥미 3) 체중 변화(감소나 증가) 4) 수면 변화(불면이나 과수면) 5) 정신운동 초조 또는 지연 6) 피로 또는 에너.. 2023. 8. 8. 조현병 및 스펙트럼 장애: 원인 종류 진단 치료 전략 안내서 정신건강의학과 Chapter 10. 조현병,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조현병(정신분열병),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망상장애, 조현정동장애, 단기정신병적 장애와 조현양상 장애 비교, 산후 우울, 산후 정신병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조현병(정신분열병) 2.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망상장애, 조현정동장애, 단기정신병적 장애, 산후우울, 산후정신병 2-1. 망상장애 2-2. 조현정동장애 2-3. 단기정신병적 장애와 저현양성장애 2-4. 산후정신병 1. 조현병(정신분열병, Schizophrenia) 전세계적으로 조현병의 평생유병률은 1%로 흔한 정신병의 하나입니다. 발병률이 가장 높은 연령층은 젊은 층으로 다소 일찍 발.. 2023. 8. 7. 이전 1 2 3 4 5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