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부인과

자궁 건강과 여성의 삶: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증, 자궁샘근육증

by 종합병원김닥터 2023. 8. 4.

산부인과 Chapter 13 - 15.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증, 자궁샘근육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목차]
1. 자궁내막증식증(Endometrial hyperplasia)
2. 자궁내막증(Endometriosis)
3. 자궁샘근육증(Uterine adenomyosis)

1.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증식증은 지속적인 에스트로겐 자극 시 증식기 자궁내막에서 발생하여 정상적인 증식기 자궁내막보다 gland 비율이 증가하고 비정상적인 자궁출혈을 동반합니다. Unopposed estrogen 노출 시 자궁내막증식증의 위험도는 Nulliparity, 늦은 폐경, 이른 월경시작, 비만, PCOS, 당뇨, 과립세포종, Tamoxifen, 호르몬 대체 요법 시에
상승합니다.
 자궁내막증식증의 조직학적 분류는 1) 단순 자궁내막증 2) 복합 자궁 내막증 3) 비정형성이 동반된 단순 자궁 내막증 4) 비정형성이 동반된 복합 자궁 내막증으로 할 수 있으며 특히 비정형성이 동반된 복합 자궁 내막증의 경우 29%에서 악성종양으로 진행하게 됩니다. 
 증상으로 Vaginal  bleeding이 가장 흔하며 진단은 자궁내막의 두께가 5mm 이상 두꺼워져 졌을 때 진단하고 (비정상 자궁내막 두께: 폐경 전 >14mm, 폐경 후 >5mm) 진단을 위해서 자궁내막생검을 시행합니다. 
 치료는 가임기 여성의 경우 지속 progestin 요법으로 치료 후 자궁내막생검 또는 자궁내막긁어냄술로 경과관찰합니다. 폐경 후 여성은 정형성 자궁 내막 증식증은 주기적 프로게스테론 치료하며 비정형성 자궁내막증식의 경우 자궁절제술(Hysterectomy)을 가장 우선적으로 고려하며 자궁적출(TAH+BSO) 혹은 계속적 고농도 프로게스테론 치료 후 실패 시 자궁절제술을 합니다.

정상자궁과 자궁내막증식증

2. 자궁내막증

  자궁내막증은 자궁 안에 있어야 할 자궁내막 조직이 자궁 밖에 존재하는 것으로 이 중에 난소에 생긴 Endometriotic cyst를 자궁내막종(Endometrioma)라고 정의합니다.
 임상증상으로 불임, 월경통, 성교통, 만성적인 골반통이 있습니다.
 진단은 골반내진과 초음파를 통해 합니다. 골반 내진을 통해 자궁의 움직임 제한이 확인되면 이는 자궁이 후굴되어 고정되고 난소와 난관의 운동성이 감소되어 있음을 시사합니다. 초음파는 자궁내막종 진단에 특히 유용하며 자궁부속기에 저에코의 균질한 낭종이 확인됩니다. 확진을 위해 진단적 복강경 시행하며 endometrioma의 경우 낭종 내부의 초콜릿색 fluid가 관찰되는 것이 특징입니다. 
 치료는 통증 조절을 위해 Progestin(디에노게스트), GnRH agonist를 사용하며 불임치료시 오직 수술적 치료로 난소낭종절제술(Laparoscopic cystectomy)을 하고 양쪽 난소낭종이 있을 시 양쪽 난소낭종절제술을 합니다. 재발방지를 위해 경구피임제를 복용합니다.

자궁내막증

3. 자궁샘근육증(Uterine Adenomyosis)

 자궁샘근육증은 자궁근육층 내 자궁내막조직(Stroma와 Gland)이 자궁내막 기저로부터 최소 1 low-power field 떨어져서 존재하는 것으로 자궁이 전반적으로 커져 있는 상태입니다. 대개 무증상이지만 성교통, 월교통이 있고 월경량이 많거나 월경기간이 길 수 있습니다.
 MRI 또는 초음파를 통해 진단하며 골반 초음파 소견으로 전벽 또는 후벽 중 한쪽이 반대편보다 두꺼워 보이고 자궁근층의 음영이 heterogenous 한 양상을 보입니다. 자궁 내막층의 경계가 불분명하고 전반적으로 커진 자궁소견도 함께 관찰됩니다.

자궁샘근육증 초음파 소견

 진단은 임상적으로 진단하며 확진은 자궁적출 후 병리검사를 통해서만 가능합니다.
 치료는 증상완화를 위해 내과적 치료로 NSAIDs, Levonegestrel 자궁내 장치(LNG-IUD, Mirena)을 하고 증상이 심하거나 폐경까지 오래 남았고 임신을 원하지 않을 경우 자궁적출술을 함으로써 이차성 월경통을 해소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