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부인과 Chapter 01. 가족계획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자궁 내 장치로 인한 아랫배 통증, 월경량 증가, 경구 피임약 복용 후 질 출혈, 성교 후 4일/7일 지난 응급 피임, 35세 이상 흡연 여성의 피임, 분만 후 다음 임신 전까지 피임법, 에스트로겐 및 자궁 내 장치 금기증 피임법, 에스트로겐 금기 환자 피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황 01.] 자궁내 장치로 인한 아랫배 통증
질출혈과 아랫배가 아파서 내원한 산과력 2-0-0-2인 39세 여성이 내원
증상 조절을 위해 2일 전 자궁 내 장치를 삽입함
마지막 월경 시작일은 10일 전
영상검사에서 자궁 밖으로 이탈 된 자궁 내 장치가 확인됨
=> 2일 전 삽입 한 자궁내 장치와 아랫배 통증이 관련이 있다고 추측할 수 있으며 이에 영상검사를 촬영하였습니다. 그 결과, 자궁 밖으로 이탈된 자궁 내 장치 확인 되었으며 이 경우는 자궁경으로는 제거할 수 없으므로 복강경 수술로 제거합니다.
[상황 02.] 월경량 증가
월경량이 많아 내원한 41세 산과력 2-0-2-2 여성환자
5년 전부터 간경화증으로 진단받고 치료 중
2년 전부터 월경량이 증가했으며 월경기간도 10일 이상으로 길어짐
골반검사에서 덩이는 만져지지 않음: 자궁근종 가능성 낮음
골반초음파검사에서 자궁내막은 정상: 자궁샘근육증, 자궁내막증식증 가능성 낮음
=> 골반검사와 골반초음파 검사 정상이므로 Levnogestel 자궁내 장치를 통해 생리량과 생리통을 줄여줌으로 증상을 완화시키며 경과관찰을 하면 됩니다.
[상황 03.] 경구 피임약 복용 후 질 출혈
25세 미혼 여자가 피임 상담을 위해 내원
경구피임약을 2주 전부터 매일 복용 중
3일 전부터 간헐적으로 소형패드에 묻는 정도의 질출혈 보임
골반검사와 골반초음파검사에서 자궁은 정상소견
=> 경구피임약 복용 후 소량의 질출혈은 일어날 수 있으므로 경과관찰 합니다.
[상황 04.] 성교 후 4일 지난 응급 피임
30세 산과력 0-0-1-0인 여자가 성교 후 4일이 지나서 응급 피임을 위해 내원
월경은 28일 주기로 규칙적이고 마지막 월경 시작일은 14일 전이며 피임하지 않음
=> 성교 후 4일이 지났으므로 가능한 응급피임법은 울리프리스탈 아세테이트로 5일 이내에 사용이 가능합니다. 72시간 이내 사용가능한 응급피임약으로 경구 레보노게스트렐이 있습니다.
[상황 05.] 35세 이상 흡연 여성의 피임법
38세 산과력 2-0-1-1인 여자가 피임 상담을 받으러 내원
평소에 심한 월경통과 월경과다가 있음
1일에 1갑씩 흡연 중
골반초음파검사 결과는 정상 확인
=> 효과가 좋은 피임법으로 경구피임약, 자궁 내 장치, 남성 콘돔, 불임수술이 있습니다. 경구피임약이나 자궁 내 장치가 가능하다면 이 두 가지 방법을 우선시합니다. 콘돔의 경우는 경구피임약이나 자궁 내 장치 금기 일 시 사용해 볼 수 있습니다. 하루 한 갑의 흡연력과 35세 이상일 경우 경구피임약의 금기증에 해당합니다. 그리고 골반 내 장치를 삽입하기 위해서 반드시 골바초음파 검사를 통해 정상임을 확인해야 하고 현재 환자의 경우 심한 월경통과 월경과다 증상이 있으므로 레보노게스트렐 자궁내장치로 피임효과를 얻음과 동시에 월경통과 월경과다 증상을 완화할 수 있습니다.
[상황 06.] 분만 후 다음 임신 전까지 피임법
31세 여자가 피임 상담을 위해 내워함
3주 전에 질분만으로 출산하였고 다음 임신 전까지 피임하려고 함
현재 혼합수유를 하고 있음
=> 현재 수유 중이므로 에스트로겐 투여 시 모유량을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출산 6주까지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따라서 에스트로겐이 포함되어 있는 복합경구피임제는 권장되지 않습니다. 그리고 다음 임신을 계획 중이기 때문에 나팔관묶음술는 금기가 됩니다. 프로게스테론 단독피임제가 가장 권장되며 모유의 양과 질에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자연주기법은 실패할 확률이 크므로 일반적으로 권장되지 않습니다.
[상황 07.] 에스트로겐 및 자궁내 장치 금기증 피임법
35세 산과력 1-0-1-1인 여자가 피임을 상담하기 위해 내원
6개월 전 정맥 혈전증(or 폐색전증)으로 진단받고 치료받음: 에스트로겐 제제 금기사항
2개월 전 골반염으로 항생제 치료 받음: 자궁 내 장치 금기사항
골반 진찰 결과 정상 확인
=> 에스트로겐 제제와 자궁내 장치 모두 금기인 상황에서는 콘돔을 사용하여 피임한다.
[상황 08.] 성관계 7일 이내 응급피임약
31세 산과력 2-0-1-2인 여자가 7일 전 성관계를 한 후 응급피임을 위해 내원
평소 월경주기는 28일로 규칙적, 마지막 월경 시작일은 14일 전
골반 진찰 결과는 정상
=> 응급 피임은 성관계 후 경과 시간을 따져 처방할 수 있습니다. 72시간 이내이면 레보노게스트렐, 120시간 이내이면 울리프리스탈, 7일 이내이면 구리자궁 내 장치를 고려할 수 있습니다.
[상황 09.] 에스트로겐 금기 환자 피임
36세 산과력 1-0-0-1인 여자가 피임 상담을 위해 내원
1년 전 간에 4cm 크기의 혈관종 진단: 에스트로겐 금기증
하루에 담배 10개비 정도 피움: 에스트로겐 금기증
2년 후 다시 임신 계획 중: 난관결찰술 안되는 이유
=> 35세 이상, 흡연자이며 간에 혈관종이 있으면 에스트로겐 금기증에 해당하므로 복합경구피임약 금기증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자궁 초음파 검사에서 이상이 없다면 자궁 내 피임장치를 선택할 수 있습니다.
=> 선택적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조절제는 율리프리스탈 아세테이트로 응급 피임약으로 사용됩니다. 따라서 위 환자에게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산부인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아 건강 모니터링: BPP, 비수축검사, 태아심장박동, 빈수축 (11) | 2023.08.13 |
---|---|
산전관리 및 주수별 산전 진찰 방법 (14) | 2023.08.12 |
부인 건강의 길잡이: 질염, 골반 내 감염, 첨형콘딜로마, 바르톨린샘염, 외음부성기 궤양 증상, 진단 및 치료법 가이드 (18) | 2023.08.08 |
자궁 건강과 여성의 삶: 자궁내막증식증, 자궁내막증, 자궁샘근육증 (19) | 2023.08.04 |
여성건강과 자궁근종: 원인, 증상, 치료를 위한 안내서 (11) | 2023.08.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