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산부인과

태아 건강 모니터링: BPP, 비수축검사, 태아심장박동, 빈수축

by 종합병원김닥터 2023. 8. 13.

산부인과 Chapter 07. 임신 중 태아의 감시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생물리학적 평가지표, 비수축검사, 태아심장박동, 자궁 수축 시 태아 심장박동, 옥시토신 유도분만 중 빈수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생물리학적 평가지표(Biophysical profile, BPP)

2. 비수축검사(Nostress test, NST)

3. 태아심장박동

4. 자궁 수축 시 태아 심장 박동

5. 옥시토신 유도분만 중 빈수축(Tachysystole)

1. 생물리학적 평가지표

생물리학적 평가지표는 태아의 건강 상태와 움직임을 평가하기 위한 절차로 태아의 건강 상태를 평가하기 위해 다양한 생물물리학적 지표를 평가합니다. 태아의 심박동, 태아의 호흡운동, 태아의 근육톤, 양수, 비수축검사를 결과를 토대로 정상이면 2점, 비정상이면 0점으로 하여 총 10점 만점으로 점수를 계산합니다.

생물리학적 평가지표의 평가요소 5가지

 Nonstress test의 경우 나머지 4개의 BPP 항목이 정상일 경우 생략 가능하며, Amnionic fluid volume(양수량)은 만성 태아 저산소증을 반영합니다. 양수량을 표현하는 방법으로 양수지수와 최대 양수 수직깊이가 있습니다. 양수지수(Amniotic fluid index, AFI)는 자궁을 4 등분하고 각가의 양수의 깊이를 더한 값으로 정상수치는 5-24cm입니다. 최대 양수 수직 깊이(Single deepest vertical pocket)는 정상 수치 2-8cm입니다. 양수과소증은 가장 깊은 수직 깊이 2cm 미만 또는 양주지수 5cm 미만일 경우를 말하며 36주 이후 분만 권장합니다. 만약 36주 이전인 경우 태아 기형과 성장에 대한 평가에서 모두 정상이고 태아와 모체 모두 이상 없다면 경과관찰합니다. 

BPP 점수 계산 해석표

 계산된 BPP 점수의 해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BPP 점수 10점은 정상입니다. 다음으로 8점을 맞았더라도 양수 양이 정상이면 정상으로 해석하지만 만약 양수량이 감소되어 있었다면 이는 태아 질식 상태가 의심되어 분만을 고려합니다. BPP 6점일 경우 태아 질식의 가능성이 있음으로 해석하며 양수가 비정상일 경우 분만하며, 양수가 정상이더라도 36주 이상이면 분만합니다. 검사 반복해서 다시 6점 이하가 나옸을 시 분만을 고려하고 재검 시 6점 초과하게 나오면 검사를 다시 반복하고 주의 깊게 확인합니다. BPP 4점일 경우 태아 질식 가능성이 아주 높기 때문에 같은 날에 다시 한번 검사를 진행하여 6점 이하일 경우는 주수와 상관없이 분만하고 BPP가 0에서 2점은 거의 확실한 태아 질식상태이므로 분만을 진행합니다. 

2. 비수축검사

 비수축 검사 후 태아가 20분간 태동에 따른 태아심박동 상승이 15초 이상 지속되면 분당 15회 상승이 2회 이상 발생을 하면 반응성(Reactive)이 있다라고 판단합니다. 20분간 시행한 비수축검사에서 태동에 따른 태아심박동의 증가가 없다면 20-40분간 비수축검사를 더 시행합니다. 그리고 산모가 공복이라면 식사를 하게 하고 태아가 자고 있을 수 있기 때문에 태아를 깨웁니다. 만약 태동이 느껴지나 40분 이상 반응이 없을 경우 무반응성(Non-reactive)라고 판단하고 이와 관련된 원인으로 태아산혈증, 태변착색, 양수과소, 태반경색, 발육지연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NST 반응성 결과

3. 태아심장박동

 태아의 심장박동 정상은 120회- 160회 /분이며  태아의 심박동의 박동 간에는 변동성을 보입니다. 

태아 정상 심방박동

 만약 이런 변동성을 보이지 않는 다면 원인은 태아 가사, 태아가 자고 있는 경우, DKA, 정상미숙아, analgesic drug, 황상마그네슘 등이 있으며 임신 말기에서 이런 소견이 보인다면 응급 제왕절개의 적응증이 됩니다. 

변동성을 보이지 않는 태아 심장박동

4. 자궁 수축 시 태아 심장 박동

자궁 수축 시 태아의 심장 박동의 크게 3가지 패턴을 보일 수 있습니다. 1) 조기 심장박동감소(Eearly decelaration) 2) 말기 심장박동감소(Late deceleration) 3) 다양 심장박동감소(Variable deceleration)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조기 심장박동감소는 심장박동감소의 시작과 회복이 자궁 수축과 일치하고 심방박동의 감소시작에서 심방박동의 가장 낮은 지점까지의 시간이 30초 이상으로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원인은 태아 머리가 눌러진 것으로 처치는 산모를 옆으로 눕히고 모니터링하며 경과관찰합니다.

조기 심장박동감소

2) 말기 심장박동감소는 태아 심장박동 감소의 회복 시점은 자궁 수축이 끝난 이후이며, 심장박동의 감소시작과 심장박동의 가장 낮은 지점까지의 시간이 30초 이상으로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원인은 산모 고혈압, 교통사고, 태반조기박리 등에 의해 모체의 자궁으로부터 태아로의 충분한 혈류와 산소공급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말합니다. 처치는 옆으로 눕히고 수액 공급을 하면서 옥시토신 공급 중단하고 산소마스크를 착용하며 이 방법으로도 교정되지 않는다면 응급 제왕절개 시행합니다.

말기 심장박동감소

3) 다양 심장박동감소는 가장 흔한 형태로 관찰되며 태아 심장박동의 감소가 자궁의 수축과 무관하게 시작되어 모양이 제각가이며 시작과 가장 낮은 지점까지의 시간이 30초 미만이 특징입니다. 원인은 양수가 심하게 감소되었을 때 탯줄 압박으로 인해 가능하며 내진 시 태아 머리 앞쪽에서 박동성의 물컹한 덩이가 만져지는 것은 umbilical cord compression을 시사하는 소견이 됩니다. 따라서 양수감소와 다양 심장박동감소가 동반된다면 즉시 내진하여 cord가 눌렀는지 확인하고 눌러져 있다면 응급 제왕절개를 시행하고 눌러져 있지 않으면 자세 변화를 합니다. 자세 변화 후 여전히 나쁘면 fetal scalp pH를 측정하여 7.2 미만으로 확인되면 응급제왕 절개 시행합니다.

다양 심장박동감소

5. 옥시토신 유도분만 중 빈수축

 자궁수축이 2-3분 간격으로 오면서 150-350 MVU 정도로 되도록 목표를 설정하여 유도 분만을 하게 됩니다. 자궁수축이 10분 내 6회 혹은 15분 내 8회 이상 일어나거나, 태아심장박동수 모양이 지속적으로 이상한 경우 즉시 옥시토신 투여를 중지하고 옥시토신 반감기는 5분이므로 투여를 중지하면 농도가 급격히 낮아져 대개 자궁수축이 감소하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