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학과총론 Chapter 12. 신생아 호흡기 질환 증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상황 01.] 태변흡입증후군으로 기계환기 후에도 지속되는 청색증
임신 나이 40주 5일, 출생체중 3,700g, 질 분만으로 출생
빠른 호흡과 가슴벽뒤당김과 청색증을 보임
출생 당시 양수가 태변으로 착색되어 있음
기계환기를 시행했지만 청색증이 지속되고 맥박산소포화도 오른손 90%, 오른발 70%
=> 출생 당시 양수가 태변으로 착색되어 있어 태변 흡인 증후군이 있었음을 알 수 있고 일반적으로 기계환기를 시행하면 호전되나 청색증이 지속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태변 흡인 증후군에서 산소를 공급해도 호전되지 않을 경우 의심해야 하는 것은 폐고혈압지속증이며 오른손과 오른발의 산소포화도 차이를 통해 PDA를 통한 RL shunt가 일어남을 알 수 있습니다.
[상황 02.]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기계환기
임신나이 27주, 출생체중 950g, 제왕절개로 출생한 신생아
출생 직후부터 청색증이 계속 관찰되며 숨 쉴 때 그렁거리며 가슴벽뒤당김 확인
이에 1차 치료로 코지속 기도양압을 시도함
동맥혈기체분석에서 pH 7.02, PaCO2 84mmHg, PaO2 46mmHg: 호흡산증호흡산증 소견 지속됨
=> 조산아에서 빈호흡, 가슴벽뒤당김, 청색증이 나타나면 우선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을 의심해야 합니다. 동맥혈기체분석 결과는 기관환기 적응증에 해당합니다. 따라서 기계환기 시행하면서 반드시 인공 폐표면 활성제도 주입합니다.
[상황 03.] 신생아 일과성 빠른 호흡
임신나이 36주, 출생체중 3,600g의 남아가 제왕절개로 출생
산모는 임신당뇨병으로 치료 받음: 신생아 일과성 빠른 호흡 위험인자
아기는 태어난 직후부터 숨이 빨라지고, 날숨을 쉴 때 그렁거림
심박수 141회/분, 호흡 81회/분, 양쪽 호흡음 잘 들리고 수포음 없음
가슴 X선에서 Sun burst pattern이 확인됨: 신생아 일과성 빠른 호흡 시사
맥박산소포화도는 오른손과 왼발에서 모두 88%
=> 심박수 및 호흡은 정상 범위 내에 있으며 호흡음에도 큰 이상소견이 없습니다. 맥박산소포화도는 약간 떨어져 있지만 상하지 및 양쪽의 차이가 없으므로 혈액 순환에는 큰 장애는 없음을 알 수 있습니다. 가슴 X에서 Sun burst pattern이 확인된 것을 통해 신생아 일과성 빠른 호흡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치료는 산소공급을 해줍니다.
[상황 04.]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임신나이 29주, 출생체중 900g의 남아가 제왕절개술로 출생
태아난 직후 온몸이 파랗고, 처지고, 숨을 잘 쉬지 못하여 기관 내 삽관을 실시
가슴벽뒤당김이 심하고 가슴 청진 시 호흠음이 약하게 들림
심박 151회/분, 호흡 71회/분, 맥박 산소포화도 71%가슴 X선 사진에서 Total white out 소견: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 소견
=> 임상증상과 가슴 X선 사진소견을 통해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으로 진단할 수 있으며 폐표면활성제가 부족으로 인해 폐 발달 미숙, 무기폐가 초래되는 호흡부전 질환으로 미숙아나 분만 진행 전 제왕절개 시에 잘 동반됩니다. 치료로 인공 폐표면 활성제를 기도로 투여합니다.
[상황 05.]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 기계환기 합병증 기흉
임신 나이 27주, 출생체중 750g으로 출생한 신생아가 생후 5일째 갑작스럽게 청색증 발생
출생 직후 폐표면활성제를 투여받았고 이후 기계환기 치료 중
경피산소포화도는 오른손과 왼발에서 모두 60%앞가슴이 팽창되고, 오른쪽 가슴 청진 시 호흡음이 잘 들리지 않음: 기흉 의심 소견
=> 미숙아에서 출생 직후 호흡곤란 시 가장 먼저 의심해야 하는 것은 신생아호흡곤란증후군입니다. 따라서 이에 폐표면활성제 투여받았고 이후 기계환기 시행하였으나 5일 후 갑작스러운 청색증 발생과 오른쪽 가슴 청진 시 호흡음이 들리지 않는다는 것을 통해 기계호흡을 시행할 시 발생하는 압력손상으로 폐포의 파열이 생겨 기흉이 발생한 것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절한 검사로 X선 검사사진을 진행합니다.
[상황 06.]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 초기 합병증 동맥관열림증(PDA)
임신나이 26주, 출생체중 700g으로 태어난 후 폐표면활성제를 투여받은 뒤 자발호흡을 유지하면서 잘 지내옴
생후 5일째부터 무호흡이 지속되고 경피산소포화도가 오른손과 왼발에서 모두 80%로 낮아짐
가슴 청진 시 복장뼈 왼쪽 3/6도의 수축기 잡음이 들리고 위팔동맥에서 도약맥박이 만져짐: 동맥관열림증 소견
가슴 X선 사진에서 Total white out 확인되고 약간의 심비대 소견 확인됨
=> 신생아 호흡곤란증후군의 초기 합병증으로 수축기 잡음과 도약맥박이 들리는 동맥관열림증이 확인됩니다. 호흡곤란증후군에 대한 표면활성제 치료로 폐혈관 저항이 감소되면서 동맥관 개존을 통해 좌우 단란량이 증가하게 됩니다. 미숙아의 경우 동맥관 평활근의 혈중 산소 농도 증가에 대한 반응과 혈중 프로스타글란딘 농도의 감소가 적절히 이루어지지 않아 동맥관 폐쇄가 지연될 수 있습니다.
[상황 07.] 태변흡입증후군 치료
임신나이 39주, 출생체중 3.8kg, 자연분만아 잘 진행되지 않아 응급 제왕절개술로 출생한 여아
출생 당일 빠른 호흡으로 신생아 중환아실에 전원됨
전신에 태변이 묻어있고 가슴벽 뒤당김이 보임: 태변흡인증후군 시사
기도 삽관 후 인공호흡기 적용하였으며 흡인산소농도 40%에서 맥박산소포화도 85%
동맥혈가스분석에서 산증, 고탄산혈증, 조산소증 소견 확인
심초음파에서 삼첨판 역류 소견과 양방향 동맥관개존이 관찰되지만 상하지의 경피산소포화도 차이 없음
=> 태변흡입 증후군에서 호흡부전으로 기계적 환기 필요할 수 있으면 태변에 의해 2차적 폐표면활성제 부족이 생기므로 폐표면활성제 보충이 필요합니다. 태변흡입증후군이 발생하게 되면 출생 후 폐혈관 저항 감소가 되지 않아 신생아 지속성 폐동맥 고혈압(PPHN)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삼첨한 역류가 생길 수 있으나 상하지의 경피산소포화도 차이가 보이지 않는 것을 통해 신생아 폐동맥 고혈압 지속증으로 확진할 수는 없습니다.
[상황 08.] 기관지폐 형성 이상
교정나이 38주, 체중 1800g인 여아가 흡입 산소 농도 60%로 인공호흡기 치료 중
임신 나이 25주, 출생체중 800g으로 출생하여 신생아호흡곤란증으로 폐표면활성제를 투여받음
그 이후 산소를 주지 않으면 산소포화도 91-92%이며, 산소 2L를 주면 산소포화도 95-96%: 산소공급필요상태
가슴 X선 사진에서 크기가 다른 무수한 낭종이 확인됨: 기관지폐 형성 이상 소견
=> 교정 나이 36주가 지나도 여전히 자발호흡을 하지 못하고 산소 공급을 필요로 하는 상태로 기관지폐 형성이상으로 태어난 후 보조환기 요법을 받은 미숙아에게 흔히 생길 수 있습니다.
'#소아청소년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생아 황달 증례: 증상과 치료 과정 분석 (36) | 2023.08.14 |
---|---|
신생아 소화기 질환 증례: 증상과 치료 과정 분석 (27) | 2023.08.14 |
신생아 가사 및 소생술 증례: 증상과 치료 과정 분석 (22) | 2023.08.14 |
분만손상 증례: 증상과 치료 과정 분석 (32) | 2023.08.11 |
신생아 관리 증례: 증상과 치료 과정 분석 (26) | 2023.08.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