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소아청소년학과

소아 탈수 평가 및 필요 수액량 산출, 전해질 평형 가이드 라인

by 종합병원김닥터 2023. 8. 2.

소아청소년학과총론 Ch7. 탈수 평가 및 처치 소아 수액량 산출 전해질 평형
"소아 탈수 이유"
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소아탈수

[목차]
1. 탈수 평가 및 처치
2. 소아 수액량 산출
3. 전해질 평형

1. 탈수 평가 및 처치
탈수의 정도에 따른 임상양상
을 정리한 표입니다. 크게 경증, 중등도, 중증으로 구분하고 있으며 경증 또는 중등도 탈수에서 구토가 없는 경우 경구 수액요법으로 수분, 전해질, 탄수화물 보충 해주어야 합니다. 중증 탈수의 경우 반드시  정맥 수액요법을 통해 0.9% 식염수 or Ringer's lactate를 시행해줘야 합니다.

탈수 정도에 따른 특징 비교

그러면 중증 탈수에 대해 좀더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영아의 기준(생후1개월 - 1세) 체중감소가 본인 체중의 10% 초과한 경우 중증탈수라고 구분하며 만약 환자가 "잘 먹으려고 하지 않고, 잠만 자려고 하고 피부는 차고 얼룩얼룩하며 맥박이 약하고 빠르며, 마른 혀"의 소견을 보인다면 중증 탈수를 의미합니다.

2. 소아 수액량 산출
그렇다면 수액량은 어떻게 줘야 할까요? 환자에게 필요한 양만큼을 적절한 속도로 제공해야 하며 1일 유지량 + 이미 소실한 양 + 계속 소실하는 양만큼을 고려하여 투여해야 합니다.

1일 수분 유지량

1일 수분 유지량탈수 되기 전  체중을 기준으로 하여 위의 표를 참고하여 유지량과 투여속도를 계산합니다. 만약 환아의 몸무게가 17kg이라고 한다면 1000mL + 50mL x (17kg-10kg) = 1350mL의 1일 수분유지량이 필요하게 됩니다. 다음으로 이미 소실한 양은 (원래 체중 - 입원 시 체중)만큼에 해당하며 계속 소실한 양은 환자가 입원 후에도 설사, 구토, 위장관액의 흡인 등으로 수분 및 전해질을 보충하고 있을 때 가능한 한 그 양을 정확히 측정하여 소실된 양만큼을 추가하여 보충해 주도록 합니다. 중증 탈수의 경우 소변량 체크를 통해 수액요법이 잘 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가장 좋은 지표가 됩니다. 

3. 전해질 평형
소아의 전해질 대사 장애 중 저나트륨혈증(Hyponatermia)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저나트륨혈증은 혈중 Na+ < 135mEq/L 인 상태를 말하며 이로 인한 증상은 혈장 삼투압이 저하되어 수분이 체내로 이동하게 되면서 세포 팽창 및 뇌부종으로 두통, 구역, 구토 등이 나타납니다. 필요한 조치로는 필요한 Na+ 보충해주어야 하는데 (올리고자 하는 Na+ -  환자의 Na+) x 0.6 x 체중(kg) 공식에 맞춰 보충합니다. 이 때 Hyponateremia로 인해 의식 이상, 경련이 발생하면 3% 식염수를 시간당 4-6mL/kg 속도로 주입하고 하루에 12mEq/L 이상 교정하지 않아야 합니다. 만약 이를 지키지 않고 급속하게 Hyponatremia를 교정하면 삼투성 탈수초증후군(Osmotic demyelination syndrome)이 발생하여 수일 이내 의식저하, 사지마비, 사망에 이를 수 있음을 명심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