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아청소년학과총론 Chapter 03. 소아의 발달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정상발달, 거대세포바이러스감염으로 인한 청력발달문제, 청력 정상의 언어발달장애, 세균성 뇌수막염 합병증으로 인한 청력장애로 언어발달 지연, 언어발달 지연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황 01.] 정상발달
정기검진을 위해 내원한 12개월 남아
임신나이 32주, 출생체중 1,600g: 미숙아출생
대근육 운동 평가에서 혼자 걷기를 하지 못하지만 붙잡고 걸을 수 있는 발달생태: 10개월 정도의 발달상태
소근육 운동 평가에서 엄지와 집게손가락 끝으로 작은 물건 잡기: 12개월에 합당
언어도 '엄마', '아빠'를 적절히 사용: 정상적인 발달 상태
사회성도 낯가림이 있으나, 엄마와 아빠를 좋아하며 따름 정상적인 발달상태
=> 현재 대근육운동의 발달만 12개월 보다 약간 뒤처져 있긴 하지만 크게 차이나는 정도는 아니며 남아가 미숙아로 출생한 점을 고려하였을 때 정상적인 발달 수준으로 판단해 볼 수 있습니다.
[상황 02.]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으로 인한 청력 발달 문제
12개월 남아가 언어발달이 늦어 내원
출생 직후 거대세포바이러스감염 치료력 확인됨
일어서고 걸을 수 있으며, 엄지와 검지로만 물건 짚기 가능: 정상 운동발달
부모와 미소 지으며 눈을 잘 맞추지만 엄마가 이름을 부를 때 반응하지 않음: 청력 문제 의심옹알이는 할 수 있으나 의미 있는 말은 하지 못함: 언어발달 7개월 수준=> 환아는 정산 운동발달을 보이지만 언어발달이 늦으며 특히 이름을 부를 때 반응하지 않는 것을 통해 청력에 이상이 있음을 의심해 볼 수 있습니다. 환아는 거대세포바이러스 감염이 있는데, CMV 선천 감염 시 감각 신경 및 청력 손실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상황 03.] 24개월 정상발달
24개월 된 남아가 영유아 검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번에 한 계단씩 층계를 오름: 2세 정상발달입방체 6-7개 쌓아 올림: 2세 정상발달수평 직선을 그림: 2세 정상발달두 단어 연결 문장 말하기: 2세 정상발달숟가락질함: 2세 정상발달=> 따라서 아이는 현재 정상 발달 중입니다.
[상황 04.] 청력 정상의 언어발달 장애
말이 늦어 내원한 5세 남아24개월에 엄마, 60개월에 5개 단어만 구사함: 현재 12개월 수준의 언어발달 상태청력 검사 정상 확인=> 청력 검사 정상인 언어발달 장애 아이의 경우 정신지체, 정서장애, 자폐, 뇌성마비 등을 원인이 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염색체 마이크로어레이 분석을 통해 염색체 이상으로 인한 언어 발달장애를 우선 확인해보아야 합니다.
[상황 05.] 7개월 정상발달
발달이 늦는 듯하여 내원한 7개월 남아배밀이를 하거나 길수도 있음: 7개월 정상발달다른 손으로 물건을 옮겨 쥘 수 있음: 7개월 정상발달의미 없이 재잘거리기도 하며 거울을 좋아함: 7개월 정상발달=> 운동, 적응, 언어, 사회적 행동 모두 정상 발달 수준입니다.
[상황 06.] 세균성 뇌수막염 합병증으로 인한 청력장애로 언어발달 지연
말을 잘 하지 못해 내원한 23개월 여아생후 3개월에 세균성 뇌수막염 겪음'엄마', '아빠' 외의 단어를 말하지 못함: 10개월 언어발달에 머물러 있음계단 오르내리기, 입방체 6-7개 쌓기, 숟가락질하기: 운동, 적응, 사회적 행동발달 이상 없음=> 다른 발달에 이상 없이 언어발달에 문제를 보이는 소아는 청각장애를 의심하여 청력검사를 먼저 시행해야 합니다. 생후 3개월에 겪은 세균성 뇌수막염의 합병증으로 청각 신경에 손상이 있을 수 있습니다.
[상황 07.] 19개월 언어지연
영유아건강검진을 위해 내원한 19개월 여아운동발달의 경우 혼자서 계단을 오름: 24개월 수준입방체 3개를 쌓아올림: 18개월 수준'엄마', '아빠' 외의 몇 가지 단어를 말하지만 신체 부위를 알지 못함: 12개월 - 18개월 사이 언어발달 수준숟가락으로 혼자 먹을 수 있음: 24개월 수준=> 언어 발달에 있어서 12개월 - 18개월 사이에 정체되어 있으며 18개월 수까지 15개 정도의 단어를 얘기하지 못하면 지연되어 있는 것이라 볼 수 있습니다. 따라서 환아는 언어지연에 해당합니다.
[상황 08.] 24개월 언어 지연
영유아검진을 위해 내원한 24개월 남아운동발달의 경우 평지를 두 발로 잘 뛰어다님: 24개월 수준언어발달의 경우 '엄마', '아빠' 외 3-5개 단어 말함: 15개월 수준사회발달의 경우 혼자 숟가락질함: 24개월 수준=> 현재 언어 발달 수준이 15개월에 머물러 있으며 24개월 정상 언어 발달은 간단한 문장을 말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환아는 언어지연에 해당합니다.
'#소아청소년학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소아의 영양 증례: 증상과 치료 과정 분석 (14) | 2023.08.11 |
---|---|
소아청소년의 성 발달 증례: 증상과 치료 과정 분석 (3) | 2023.08.10 |
소아 진찰 및 저신장 증례: 증상과 치료 과정 분석 (16) | 2023.08.10 |
소아 호흡기 질환 종합 가이드: 무기폐, 상부/하부 호흡기 감염부터 폐렴, 기도 내 이물 까지 증상 및 치료 방법 (17) | 2023.08.07 |
소아청소년 소화기 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가이드 II (20) | 2023.08.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