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소아청소년학과31 소아 진찰 및 저신장 증례: 증상과 치료 과정 분석 소아청소년학과총론 Chapter 01. - 02. 소아의 진찰과 저신장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체질성 성장지연, 터너증후군, 염색체기형, 가족성저신장, 성장호르몬결핍 성장장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상황 01.] 소아 진찰 양쪽 유방의 덩이와 투명한 질분비물을 주소로 내원한 생후 1주 여아 산전질찰에서 특이 소견 없으며 생후에 모유도 잘 먹고 활발하게 움직임 => 신생아의 생식기와 유방은 태반을 통하여 받은 산모의 호르몬에 영향을 받습니다. 따라서 나아와 여야 모두에서 유방이 커지거나 분비물이 나올 수 있으며, 특히 여아의 생식기에서는 많은 양의 비화농성 분비물이 나오기도 합니다. 현재 산전진찰 이상 없으며 잘 먹고 활발하게 건강해 보이기 때문에 경과관찰하면 되겠습니다. [상황 02.] 체질성 성장지연.. 2023. 8. 10. 소아 호흡기 질환 종합 가이드: 무기폐, 상부/하부 호흡기 감염부터 폐렴, 기도 내 이물 까지 증상 및 치료 방법 소아청소년학과각론 Chapter 04. 호흡기질환에 대해 다뤄보겠습니다. 호흡기 질환에는 무기폐, 상부호흡기 감염, 하부 호흡기감염,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합병증,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포도알균 폐렴, 기도 내 이물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무기폐 2. 상부호흡기 감염 3. 하부호흡기 감염 4. 신생아 호흡곤란 증후군의 합병증 5. 마이코플라스마 폐렴 6. 포도알균 폐렴 7. 기도 내 이물 1. 무기폐(Atelectasis) 무기폐는 선천 무기폐와 2차 무기폐가 있습니다. 선천 무기폐는 신생아가 출생 직후 첫울음과 함께 몇 번의 호흡으로 폐포에 공기가 차서 폐가 확장되는 데, 처음부터 이러한 폐 확장이 일어나지 않는 것을 말하며 2차 무기폐는 생후 폐 확장이 일어났음에도 어떤 이유로 인해.. 2023. 8. 7. 소아청소년 소화기 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가이드 II 소아청소년학과각론 Chapter 02-2. 소화기질환: 소아 위장관 총론, 잘록 창자 겹침증, 메켈곁주머니, 선천성 식도 폐쇄 및 식도기관루, 선천 가로막 탈장, 선천성 십이지장 폐쇄증, 비후성 유문 협착증, 선천 거대 잘록 창자, 중간창자꼬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소아 위장관 총론 2. 잘록창자 겹침증 3. 메켈곁주머니 4. 선천성 식도 폐쇄 및 식도기관루 5. 선천 가록막 탈장 6. 비후성 유문 협착증 7. 선천 거대 잘록 창자 8. 중간창자꼬임 1. 소아 위장관 출혈 총론 소아 위장관 출혈의 연령에 따른 원인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신생아기(출생 후 1개월 이내) 때는 분만 시 모체 혈액이 흡인된 것인지, 신생아 출혈인지를 감별하기 위해 Apt test를 합니다. Apt test는 .. 2023. 8. 6. 소아청소년 소화기 질환: 예방과 치료를 위한 가이드 I 소아청소년학과 각련 Chapter 2-1. 소화기질환: 기능성 위장관 질환, 만성비특이설사, 소아변비, 로타바이러스장염, 유당불내증, 알레르기 결장직장염, 소아설사치료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소아 환자에서의 복통 2. 만성 비특이 설사 3. 소아변비 4. 로타바이러스장염 5. 유당불내증 6. 알르레기 결장직장염 7. 소아설사치료 1. 소아 환자에서의 복통(Abdominal pain) 소아 환자에서 과거 3개월간 3회 이상의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배꼽 주위 복통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초래하는 경우 해부학적 이상 또는 감염, 염증 등의 생화학적 이상으로 설명되지 않는 소화기관의 장애를 기능성 위장관 질환(Functional gastrointestinal disorger, FGID)라고 합니다. .. 2023. 8. 5. 이전 1 2 3 4 5 6 7 8 다음 반응형